Kakao Talk Channel Chat Button Demo - Kakao JavaScript SDK
Loading...

인트라넷

자유롭게 피어나기...

속리산 복천암-신미대사와 한글 창제

by 월간김현청 posted May 23, 200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속리산 복천암  



산속 깊은 곳에 자리잡은 천년고찰(千年古刹)에는 이야기가 숨어 있다.
한반도의 한가운데는 충북 지역이고, 충북에서도 속리산(俗離山)이다.

한국의 중심에 속리산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속리산에서 보은(報恩) 쪽으로 흘러간 물은 금강에 합류되고, 화북(化北) 쪽으로 흘러간 물은 낙동강으로 합류되며, 속리산 내(內)에서 흐르는 물은 괴산(槐山) 쪽으로 역류(逆流)하다가 한강에 합류된다.
속리산에서도 가장 깊숙하게 자리잡고 있는 고찰이 바로 복천암(福泉庵)이다. 그래서 복천암을 배꼽 ‘제(臍)’자를 써서 ‘속리산제중’(俗離山臍中)이라고 부른다. 속리산의 배꼽에 해당하는 복천암은 문장대의 맥이 천왕봉으로 가면서 갈라져 내려온 맥이 뭉친 지점이다.
복천암에서 풍수상으로 주목할 부분은 물이 나가는 수구(水口)가 벌어지지 않고 잘 막혀 있으며, 수구 밖에 있는 안산의 모습이 말안장처럼 생겼다는 점이다. 풍수가들은 앞에 보이는 안산이 말안장(馬峰)처럼 생긴 터에는 말을 탄 귀인이나 고관대작이 많이 배출되거나 또는 방문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런지 복천암은 고려시대에는 공민왕이 자주 머물다 가곤 하였고, 조선시대에는 세조가 머물다 갔다. 복천암에 전해져 오는 ‘복천보장(福泉寶藏)’이라는 문헌에 의하면 세조는 500명의 수행원들을 데리고 와서 3일간 머물다 갔다고 한다.

말티재 오기 전에 저수지가 있고, 이 저수지 옆을 보은 사람들은 ‘대궐 터’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세조가 데리고 온 500명의 수행원들이 여기에서 묵었기 때문이다. 그 유명한 ‘정2품송’ 소나무도 세조가 법주사의 복천암을 찾아오던 길목에 서 있던 것이었다. 이 소나무 때문에 임금의 가마가 통과하기 어렵다고 걱정하였는데, 막상 임금 가마가 통과하려는 순간에 저절로 소나무 가지가 들어 올려져서 무사히 길을 지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소나무에게 정2품의 벼슬을 주었던 것이다.
왜 세조가 한양을 떠나 고생을 하면서 깊은 산속인 속리산 복천암까지 찾아왔는가? 당시 대학자이자 고승(高僧)이었던 신미대사(信眉大師·1403~1480)를 만나기 위해서였다. 복천암에는 이 신미대사가 세종 대에 집현전 학사로 참여하여 한글을 만든 장본인이라는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



신미(信眉)대사와 한글

속리산 복천암에 전해져 오는 ‘신미대사(1403~1480) 한글 창제설’을 요약하면 이렇다. 신미(信眉)는 속성(俗姓)이 영산김씨(永山金氏)인데, 영산김씨 족보를 추적해보면 ‘집현원학사(集賢院學士)’로 ‘득총어세종(得寵於世宗)’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집현전학사’였고, ‘세종의 총애를 받았다’는 말이다. 이처럼 집안 내에서는 신미가 집현전학사였다고 내려오지만, 조선왕조실록에는 그가 집현전에서 일했다는 기록이 없다. 불교 승려는 무대 뒤로 사라질 수밖에 없는 시대였던 것이다.
세종은 죽기 전에 유언으로 신미에게 ‘우국이세 혜각존자(祐國利世 慧覺尊者)’라는 법호를 내렸다. 하지만 유생들의 줄기찬 반대로 인해서 ‘우국이세’(나라를 위하고 세상을 이롭게 했다)라는 표현은 삭제되고, ‘혜각존자’라는 단어만 후세에 전해지게 되었다. 신미는 까다롭기로 소문난 범어(梵語)와 티베트어로 된 불교경전에 정통했던 대학자였으므로 혜각존자라 할 만하다. 이러한 인물이니까 세종 사후에도 세조(世祖)가 불교승려인 신미를 만나러 속리산까지 찾아왔던 것이다.
한글이 창제(1443)되고 나서 불과 몇 달 후에 집현전 실무 담당자인 부제학 최만리를 중심으로 한 유학자들이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다. 그 반대 배경에는 훈민정음의 원리적 근거가 유교가 아닌 불교였기 때문이고, 그 불교의 한가운데에 신미가 있었다는 주장이다.

공교롭게도 한글 창제 무렵에 간행된 국가적인 번역사업이 불교경전이라는 점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예를 들면 24권 분량의 ‘석보상절(釋譜詳節)’이 그렇고,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도 그렇다.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도 찬불가(讚佛歌) 아닌가.
쉬운 한글을 만들었으면 ‘논어(論語)’‘맹자(孟子)’와 같은 유교경전들을 번역해서 백성들이 읽게 해야지, 왜 하필이면 불경을 번역했단 말인가.
‘월인석보’는 세종의 어지(御旨)가 108자이고, ‘훈민정음’은 28자와 3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찰에서 아침 저녁으로 종을 칠 때 그 횟수는 28번과 33번이다. 하늘의 28수(宿)와 불교의 우주관인 33천(天)을 상징하는 숫자이다. ‘신미 창제설’의 결정적인 근거는 신미가 당대 최고의 범어전문가였고, 한글이 범어에서 유래하였다는 주장이다.

범어(梵語)는 고대 인도어다. 불교의 초기 경전은 범어로 적혀 있었고, 한자로 번역된 것이 대장경(大藏經)이다. 번역본을 읽다 보면 원전(原典)이 보고 싶어진다. 신미대사(信眉大師)는 불교 초기 경전의 원전을 보고 싶어서 범어를 공부하게 되었다.



梵語와 한글
신미는 한글을 만들 때 범어의 틀을 그대로 적용하였다고 한다. 범어에는 50개의 자모음(子母音)이 있는데, 신미는 이 가운데서 28개를 선별하였다.
한글에는 다섯 가지 발음체계가 있다. 어금니에서 발음이 되는 아음(牙音:ㄱ, ㅋ 등), 혓바닥에서 나는 설음(舌音:ㄷ, ㅌ), 입술에서 나는 순음(脣音:ㅂ, ㅍ), 이빨 사이에서 나는 치음(齒音:ㅈ, ㅊ), 목구멍에서 나는 후음(喉音:ㅎ, ㅇ)이다.
한글의 골격은 이 5단계 발음체계이다. 자음과 모음은 음(陰)과 양(陽), 그리고 이 5단계 발음체계는 오행(五行)에 배당시켰다.
그런데 이 다섯 가지 체계는 범어에 그대로 있다는 것이 한글과 범어의 상관 관계를 30년 동안 추적해온 강상원(68) 박사의 주장이다(‘훈민정음 28자 어원적인 신해설’). 강 박사에 의하면 범어와 한글은 표현하는 문자만 서로 다를 뿐, 발음은 대부분 같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렇다. 윷놀이할 때 ‘윷’이라는 말은 범어의 ‘yudh’에서 왔다. 범어로 ‘yudh’은 ‘별들의 전쟁’이라는 뜻이다.
정초에 하는 윷놀이는 하늘의 북극성을 중심으로 28수(宿)를 도는 과정이다. 28수를 한 바퀴 돌면 1년이 지난다. 윷놀이는 28개 별을 정초에 미리 짚어 보는 놀이이므로 별들의 전쟁이기도 하다. 아리랑은 범어의 ‘ari’와 ‘langh’이 합해졌다. ‘ari’는 ‘사랑하는 임’이라는 뜻이고, ‘langh’은 ‘서둘러 떠나다’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아리랑은 “사랑하는 임이 서둘러 떠나다”라는 의미가 도출된다.


‘머슴(심)’의 ‘머(ma)’는 ‘관리하다’이고, 심(sime)은 ‘힘’이다. 따라서 머슴은 힘(노동력)을 관리하는 사람이 된다. ‘아사달’은 ‘난공불락의 성’이라는 뜻이다. ‘밥’은 범어의 ‘vame’에서 왔는데, 이는 ‘어머니의 젖’을 가리킨다. 밥 먹었느냐는 ‘젖 먹었느냐’의 뜻이었던 것이다. 쌀농사를 짓게 되면서 어머니의 젖이 쌀로 대체된 셈이다. 앞으로 논쟁해 볼 가치가 있는 흥미로운 주장이다.





출-조선일보 조용헌 · goat1356@hanmail.net



?

  1. 永山山脈은 이렇게 이루어졌다.

    永山山脈은 이렇게 이루어졌다. 1. 서라벌에서 永同으로 영산김씨(永山金氏)의 뿌리를 알려면 먼저 대보공(大輔公) 휘(諱) 알지(閼智)의 탄생 설화로부터 시작된다. 일연의 삼국유사(三國遺事)나 김부식의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신라 제4대 석탈해왕 9년(中國...
    By월간김현청 Views8097
    Read More
  2. 국보 제278호

    국보 제278호 명 칭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太宗十一年李衡原從功臣錄券附函) 분 류 기록유산 / 문서류/ 국왕문서/ 교령류 수량/면적 일괄(녹권1축,함1점) 지 정 일 1993.04.27 소 재 지 충북 영동군 (국립고궁박물관 보관) 시 대 조선시대 소 유 자 이...
    By월간김현청 Views2453
    Read More
  3. 혜각존자의도력진헌

    慧覺尊者 金守省(信眉大師)의 道力 金振憲 守省은 金訓의 長子로 西記 1403年(朝鮮 太宗3年 癸未)에 태어났다. 始祖 金令貽가 高祖, 金吉元이 曾祖, 金宗敬이 祖父이시다. 태어날 때부터 왼손 손바닥에 임금 王字가 손금에 있어 父母와 三寸들은 크나큰 걱정이...
    By월간김현청 Views4305
    Read More
  4. 신미대사(수성 수암)와 반야사

    신미대사(수성 수암)와 반야사 김동현 1. 명당인 생가 신미대사는 신라 45대 신무왕의 넷째 왕자공 익자광자(益光)의 후손 영산(영동)김씨 관조이신 영자이자(令貽)의 고손(5세손)으로 증조부가 고려조 판도판서 영산부원군 길자원자(吉元)이며 조부는 조선조 ...
    By월간김현청 Views5096
    Read More
  5. 영산김씨(永山金氏)

    1. 시조(始祖) : 김익광(金益光)(22세)(김알지공(1세) 관조(貫祖) : 김영이(金永貽)(45세, 23세) 2. 본관 및 시조의 유래 영동(永同)은 충북 최남단에 위치한 지명으로 신라시대에 길동군이라 불리우다가 경덕왕때 영동으로 고쳤으며,1413년경상도로부터 충청...
    By월간김현청 Views8372
    Read More
  6. 신미대사(信眉大師,1403-1479)의 일생

    신미대사(信眉大師,1403-1479). 조선전기의 승려, 유.불학자 1. 내 용 [img1]충북 영동에서 부친 김훈(金訓)의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유학자이며 숭불을 주장한 김수온(金守溫) 의 형님으로 본명이 수성(守省), 본관은 영산(永山)이다. 처음에 법주사에 출가...
    By월간김현청 Views7438
    Read More
  7. 의문 투성이 한글기원... 신미스님이 열쇠

    한글기원과 신미대사 성현-이수광-이능화의 梵字 기원설과 부합 <사진설명>훈민정음 보급의 일등공신 신미 대사는 범자(梵字)와 티베트어에도 능통했다.(좌) 그러나 유학자들의 질시로 그가 번역한 경전마저 나중에는 삭제되는 비운을 맞는다. 초판본(中). 초...
    By월간김현청 Views9423
    Read More
  8. 세조와 신미대사

    보은미래신문 신미선사는 충청북도 영동의 영산김씨 가문에서 부친 김훈과 모친 여흥이씨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img1]출가 입산 전에 부친께서 진사벼슬에 등과한 후 태종 때에 영의정까지 지낼 수 있는 귀족가문 출신이기에 속가에서 사서삼경을 모두 섭...
    By월간김현청 Views9691
    Read More
  9. 세조가 신미대사에게 “내가 왕이 된 것은 오직 대사의 공”

    세조가 신미대사에게 “내가 왕이 된 것은 오직 대사의 공” [img1]순행(巡行) 후 서로 있는 곳이 멀어지니 직접 목소리를 듣고 인사드리는 일도 이제 아득해졌습니다. 나라에 일이 많고 번거로움도 많다보니 제 몸의 조화가 깨지고 일도 늦어집니다. 그렇다고 ...
    By월간김현청 Views7564
    Read More
  10. 속리산 복천암-신미대사와 한글 창제

    속리산 복천암 산속 깊은 곳에 자리잡은 천년고찰(千年古刹)에는 이야기가 숨어 있다. 한반도의 한가운데는 충북 지역이고, 충북에서도 속리산(俗離山)이다. 한국의 중심에 속리산이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속리산에서 보은(報恩) 쪽으로 흘러간 물은 금강에 ...
    By월간김현청 Views8400
    Read More
  11. 영산김씨 선조인 ‘신미대사(1403~1480)의 한글 창제설’

    [조용헌살롱] 신미(信眉)대사와 한글 [조선일보] 속리산 복천암에 전해져 오는 ‘신미대사(1403~1480) 한글 창제설’을 요약하면 이렇다. 신미(信眉)는 속성(俗姓)이 영산김씨(永山金氏)인데, 영산김씨 족보를 추적해보면 ‘집현원학사(集賢院學士)’로 ‘득총어세...
    By월간김현청 Views5482
    Read More
  12. 유교국가인 조선에서 만든 고려사에 불교신봉자들의 사적을 다 기록했는가?

    유교국가인 조선에서 만든 고려사에 불교신봉자들의 사적을 다 기록했는가? 오늘날 전해지고 있는 고려사는 이성계의 역성 혁명 후 조선 태조가 되어 정도전에게 명하여 편찬하기 시작하였는데 고려 왕조실록 등의 문헌을 보고 고려조를 살아온 학자들에 의하...
    By월간김현청 Views3111
    Read More
  13. 영산(영동)김씨족보의 건

    김현청 선생님 ! 안녕하세요. 이 자리에 이런글을 올려도 되는지 무례를 무릅쓰고 올립니다. 전 영동(永同),영산김씨와 결혼을 하여 아들 둘을 둔 가장으로 처가에 보관된 족보가 없어 아들에게 외가의 집안 이야길 해주고 싶어도 못하고 , 제 처는 집안 역사...
    By안영모 Views7125
    Read More
  14. 선조께서 왕명을 받아 지었다고 전해지는 월인천강지곡

    조선 세종이 1449년(세종 31)에 지은 불교 찬가(讚歌)로, 보물 제398호. 1447년에 왕명에 따라 수양대군(首陽大君)이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석보상절(釋譜詳節)》을 지어올리자 세종이 석가의 공덕을 찬송하여 지은 노래이다. 그러나 왕...
    By월간김현청 Views95916
    Read More
  15. 기산팔경(箕山八景) - (氷玉亭)

    ***高麗 末의 中顯大夫 典客寺令 永山君 金令貽는 難國을 求하려고 重臣들과 힘을 합쳐 온갖 힘을 다 했으나 기울어진 國運이 李氏에게로 기울어 두 아들 吉元과 苞와 세 사위(長壻-順天人 朴元龍 吏部侍郞, 次壻-求禮人 張丕 漢城判尹, 四壻 密陽人 朴時庸 大...
    By월간김현청 Views3693
    Read More
  16. 알지계 김(金)씨의 유래

    60년(신라 탈해왕(脫解王) 4년) 8월4일 새벽에 어느 사람이 월성(경주) 서리(西里)를 걸어가는데 밝은 빛이 계림(鷄林)에서 비치는것이 보여 가서보니 소나무 높은 가지에 금빛 찬란한 금궤가 걸려있고 아래에서 흰 수닭이 울고 있었다. 그래서 왕에게 아뢰었...
    By월간김현청 Views6193
    Read More
  17. 일제강점기에 민족의 자주성을 표현한 비문-영산김씨세장비 [永山金氏世葬碑]

    1987년 1월 15일 전라남도문화재자료 제142호로 지정되었다. 영산김씨 23대손 김철(金澈)이 1919년 봄 상하이[上海]에서 입국하여 이 비문을 써놓았다고 한다. 그가 3·1운동에 참여하고 다시 상하이로 돌아간 뒤, 종중(宗中)에서 그해 10월에 이 비를 세웠다....
    By월간김현청 Views5690
    Read More
  18. 문평공(文平公) 김수온(金守溫) 묘소

    조선초기(朝鮮初期)에 명성을 날린 영산 김씨(永山金氏)는 영산부원군(永山府院君) 길원(吉元)의 맏아들 종경(宗敬)이 고려 정종(定宗)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우찬성(右贊成) 겸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거쳐 도총관(都摠管 : 오위도총부에서 군무를 총...
    By월간김현청 Views5906
    Read More
  19. 영동(永同),영산

    http://www.genealogy.co.kr/soung1.htm영동(永同),영산 영동(永同)은 충청북도(忠淸北道) 최남단에 위치한 지명으로 신라시대에 길동군(吉同郡)이라 불리우다가 경덕왕(景德王 : 제 35대 왕, 재위기간 : 742 ∼ 765) 때 영동(永同)으로 고쳤으며, 서기 995년(...
    By월간김현청 Views7709
    Read More
  20. 永山金氏淵源

    영산김씨(永山金氏)의 원조는 신라 대보공 김알지이고 신무왕의 후손이다. 라, 여(羅, 麗) 양조에 걸쳐 출사입공해 오던중 고려말의 전객시령공이 영이 (令貽)는 쓰러져 가는 고구려를 구하려고 백방으로 전력했으나 어쩔 수 없음을 알고 사직. 낙향할제 두 ...
    By월간김현청 Views546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