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SODE

Volume 02 | 땅끝이야기 2, 삶의 경이를 배우는 파푸아

by thebom posted Aug 26, 201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vol2-10 (1).jpg

 

 

땅끝이야기

삶의 경이를 배우는 파푸아

 

 

 

파푸아 가는 길

 

파푸아는 오늘날 가장 원시적인 삶이 남아 있는 곳이지만 반대로 교통과 통신에 있어서는 가장 현대적인 곳이다. 전화와 핸드폰은 물론 위성전화를 사용하고 정글과 정글사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차가 아니라 비행기나 헬리콥터를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원시의 환경과 현대의 공존으로 인한 문제가 종종 발생한다. 정글에는 경비행기나 화물비행기가 이착륙할 활주로가 변변치 않다는 것이다. 때문에 노면이 거칠고 거리가 짧은 활주로에 사고 없이 이착륙하기 위해서는 최대한 비행기를 가볍게 해야 한다. 탑승 전 짐 가방은 물론하고 몸무게까지 저울로 계량하고 정량에서 단 1kg도 추가되는 것은 용납되지 않는다. 무게를 이기지 못한 경비행기가 활주로를 날아오르지 못하고 정글이나 강에 추락하는 사고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런 이야기를 전해 듣고 비행기를 타고 있노라면 비행기를 탄 것인지 새를 타고 나는 것인지 모를 아슬아슬함과 불안감이 엄습한다. 더구나 비행기가 추락하면 헤어 나오지 못할 것 같은 열대우림상공을 날아오르며 정체모를 긴장과 두려움을 마주 하고, 어느새 숨 막힐 듯 짙은 구름 속으로 빨려 들어가 더 큰 두려움을 마주한다. 구름사이로 간간히 드러나는 산등성이는 어느 순간 절벽처럼 눈앞에 나타나 비행기를 삼켜버릴지 두렵다. 착륙할 곳을 찾아 짙은 구름사이를 선회 하던 비행기가 정글 속으로 곤두박질하며 손바닥만 한 활주로에 내려앉을 때면 참았던 안도와 박수가 절로 터져 나온다.

파푸아 정글을 내려다보면 울창한 정글과 그사이를 뱀처럼 흐르는 강물은 경이로움으로 우리를 이끌고 스쳐 지나면 아름다운 정글에서 다만 며칠이라도 머물고 있노라면 삶은 얼마나 치열하고 고통스러운지 배우게 된다. 

 

 

 

 

vol2-10 (10).jpg

 

 

 

나무를 사랑하는 종족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종족으로는 수마트라의 바딱(Batak), 자바의 바둘(Badul), 술라웨시의 또라자(Toraja), 칼리만탄의 다약(Dayak) 그리고 파푸아의 다니(Dani)족과 아스맛(Asmat)족이 있다. 이 종족들은 모두 인도네시아 고대 문명을 대표하고 있으며 특히 파푸아의 다니족과 아스맛 족은 아직까지 원시 문명의 전통이 남아 있는 미개척지 중의 하나이다.

또한 이 지역은 대부분 나무를 이용한 원시미술의 보고다. 목조가면과 인물상, 목조장식, 영혼을 불러오는 쿤두라라는 이름의 북, 카누의 머리 목각이 대표적이다. 특히 다채로운 색상과 문양의 목조 조각물들은 그들의 조상숭배와 정령신앙과 관련이 깊어 신비롭기까지 하다.

파푸아에는 최근까지 식인풍습을 경험한 종족이 살고 있다. 1960~70년대까지만 해도 외지인과 기독교 선교사들이 파푸아에 들어갔다가 식인문화에 희생된 사실은 익히 많이 알려져 있다. 그중 외부에도 많이 알려진 식인이야기가 이 목조 조각품과 관련이 있다.

미국의 대부호인 록펠러 가문의 마이클 록펠러(Michael C. Rockefeller)는 목조 조각상 수집에 관심이 많았다. 그는 신비로운 아스맛의 목조상을 구하기 위해 1961년 파푸아에 들어간다. 그러나 그는 돌아오지 않았다. 네덜란드의 해군과 록펠러가의 오랜 수색에도 그의 행방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 후 조각상을 구하기 위해 여행하던 중 강에서 실족됐다는 설과 파푸아 원시 종족으로 세계에서 가장 호전적이고 잔인한 부족으로 알려진 아스맛의 식인풍습으로 희생됐다는 이야기가 떠돌지만 확인된 바는 없다. 대부호 록펠러의 실종 사건으로 파푸아지방의 조각상은 주술적인 사연에 더해져 세인의 관심이 더욱 높아 졌다. 

 

 

 

vol2-10 (3).jpg

 

vol2-10 (4).jpg

 

vol2-10 (5).jpg

 

 

 

호나이

 

적도의 뜨거운 태양, 열대우림의 정글, 세계 최대의 늪지 게다가 고산지역으로 적도빙하와 만년설이 있는 파푸아의 저녁은 초겨울의 찬바람이라 느껴질 정도로 싸늘하다. 때문에 파푸아 주민들은 양팔을 교차해 목을 감싸고 다니고 숯을 돼지기름에 반죽해 몸에 발라서 체온을 유지한다.

파푸아의 전통가옥 호나이(Honai)는 열대지방의 특징인 통풍이 잘되는 구조라기보다는 입구를 좁고 낮게 만들어 외부의 찬바람이 들어오지 못하게 했다. 어두컴컴한 초막 안에는 난방을 위한 화덕이 중앙에 놓여 있고 그곳에 숯으로 불을 피우고 매캐한 연기로 난방을 한다. 연기로 가득한 호나이는 외지인들에게는 눈물과 콧물이 범벅이 될 정도로 견디기 힘든 공간이지만 파푸아원주민들은 차가운 저녁의 한기 보다는 고통스러운 연기를 택했다. 열대의 땅이라는 생각에 반팔과 반바지 차림으로 파푸아를 찾은 외지인들은 혹한의 밤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

일부다처제와 남성중심의 사회인 파푸아의 부족의 생활경계는 ‘우마(Uma)’라고 불린다. 우마에 속한 전통 가옥인 호나이는 남성중심 사회인 파푸아의 생활상이 반영된 것이기도 한다. 우마 중앙의 동그란 원형모양의 호나이에는 부족의 어른인 남성이 거주하고 그 주변으로 만들어진 직사각형의 호나이들은 여성과 어린아이의 공간이다. 여성들의 생활공간과 부엌이 있는 호나이 중앙에는 나무 작대기를 꽂아 경계를 만들고 돼지들을 기른다. 즉 여성의 호나이에는 한쪽은 생활공간이고 다른 한편에는 돼지를 위한 공간이다. 돼지는 이들의 삶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가치이기 때문에 가족의 일원으로 돌봄을 받는다. 파푸아의 여성들은 어린아이에게 물렸던 자신의 젖을 새끼돼지에게도 물리기도 한다.

 

 

 

 

 

vol2-10 (9).jpg

vol2-10 (6).jpg

 

 

 

노켄

 

무심결에 파푸아 원주민 여인의 뒤를 따라가다가는 소스라치게 놀랄 수도 있다. 바로 노켄(Noken)안에서 몸을 비틀며 소리를 질러대는 돼지 때문이다. 노켄은 파푸아 인근에서 나무섬유를 이용해 그물처럼 짠 공예품이다. 일반적으로 원주민들은 이 노켄에 수확한 농작물이나 나무땔감을 나르거나 새끼돼지나 어린 아기들을 데리고 다닌다. 이외에도 노켄의 용도는 다양하다. 성인식이나 지도자임명식 등 축제를 위한 용품, 전통의상의 액세서리, 물건이나 집안의 가보를 매달아 보관하기도 하며 여성들의 몸을 가리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청혼 선물이나 부족간의 분쟁 후 화해를 위한 선물로 이용된다.

노켄을 만드는 방법은 부족과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관목의 여린 줄기나 나뭇가지와 껍질을 물에 불려 섬유질을 발라내고 이것을 말린 다음 염료 등으로 채색을 한 후 손으로 그물모양 매듭을 지어 다양한 크기와 종류로 만들어 낸다.

하지만 현재 노켄을 이용하는 사람의 수도 줄어들고 있으며 전통적인 방식으로 만드는 경우도 드물어지고 있다. 공산품 가방이 원주민들 사이에도 보급되고 있으며 노켄 제작 역시 손이 많이 가는 전통 방식보다는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나일론 끈을 이용해 제작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켄은 파푸아 원주민들의 일상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생활용품이자 패턴과 장식에 따라 부족이나 사회적인 지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때문에 노켄에는 파푸아의 예술적인 감각과 정체성이 녹아들어 있다. 윗세대로부터 물려받은 기술과 정성이 재료, 형태, 패턴, 색상 등으로 부족마다 특성이 녹아들어 있다.

노켄은 파푸아의 변화하는 모습을 그대로 담고 있다. 정글이 개발되고 외지의 문화가 들어서면서 노켄의 활용도는 점점 떨어지고 있다. 무엇보다 노켄의 재료를 준비해 만들기도 어려울뿐더러 노켄 만드는 법을 배울 아이들도 모두 학교에 다닌다. 노켄보다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공산품도 다양하다. 이제 파푸아에서는 노켄을 만들며 계승되어 온 조상들의 이야기와 부족의 자부심, 파푸아의 전통노래도 사라지고 있다.
 

 

 

vol2-10 (2).jpg

 

 

파푸아는 삶의 모든 것이 녹아들어 있다.

파푸아를 여행하면 삶의 경이로움과 허무함을 마주하게 된다.

선택은 여행자의 몫이다.

 

 

 

 

글/사진 김현청

?

  1. Volume 03 | 겨울바람이 차오르는 시간이 흐를수록 깊어지는, 아끈다랑쉬오름

    겨울바람이 차오르는 시간이 흐를수록 깊어지는, 아끈다랑쉬오름 신비의 화구 속엔 은빛 색으로 물든 연륜의 억새군락이 살고 있다. 인생의 황혼기에 접어든 억새들은 불어오는 바람에도 그저 유하다. 때론 말없이 고개를 숙이는 것이 멋져 보일 때가 있다는 ...
    Read More
  2. Volume 03 | 세상 사람들이 던진 돌을 주워 모아 다듬는 사람

    ─ 돌쟁이 ‘이창원’ 작가 돌과 보내는 조용한 시간을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한적하고 고즈넉한 제주를 쏙 빼닮은 이창원 작가는 세상 사람들이 던진 돌을 주워 모아 다듬는다. 이리저리 채여도 불평 한 번 없는 돌이 마냥 좋다고 말하는 그. 제주...
    Read More
  3. Volume 03 | 제주 보헤미안, 그들이 사는 풍경

    ─ 제주 시골집공방 지와 다리오 부부가 사는 제주 동쪽의 자그마한 시골집공방. 잔잔한 빛이 드는 창가 옆 책상 위에는 여행하며 수집한 원석들과 자연에서 주워온 나무껍질, 새의 깃털들이 제 멋대로 놓여있다. 작은 방 한켠을 나누어 은세공을 하고, 매듭을 ...
    Read More
  4. Volume 03 | 자연에서 얻은 영감위에 추억이 흩뿌려진 텍스타일

    ─ 텍스타일 디자이너 '오윤경' 제주에서 나고 자란 그녀와 자연 사이엔 거리낌이 없다. 제주의 자연, 기억, 소소한 일상에서 영감을 받아 실용적이면서 진정성 담은 디자인을 추구하는 텍스타일 브랜드 '드레핀(drepeen)'의 이야기를 들어본...
    Read More
  5. Volume 02 | 땅끝이야기 2, 삶의 경이를 배우는 파푸아

    땅끝이야기 삶의 경이를 배우는 파푸아 파푸아 가는 길 파푸아는 오늘날 가장 원시적인 삶이 남아 있는 곳이지만 반대로 교통과 통신에 있어서는 가장 현대적인 곳이다. 전화와 핸드폰은 물론 위성전화를 사용하고 정글과 정글사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차가 ...
    Read More
  6. Volume 03 | 파도의 일, 황우지 해안

    파도의 일, 황우지 해안 철썩철썩- 쉴 새 없이 파도가 몰아친다. 파도는 검은 바위에 부딪혀 새하얀 포말을 뿜어내고는 소용돌이치며 다시 부서진다. 푸른 바다에 옅은 색감이 더해진다. 그 물빛은 쉼 없이 바뀌어 한순간도 눈을 뗄 수 없다. 파도가 오고 가...
    Read More
  7. Volume 02 | 그 물빛은 어디서, 쇠소깍

    그 물빛은 어디서, 쇠소깍 색(color)이란 무엇일까. 사전은 이렇게 정의한다. ‘빛을 흡수하고 반사하는 결과로 나타나는 사물의 밝고 어두움이나 빨랑, 파랑, 노랑 따위의 물리적 현상.’ 저마다의 빛깔로 나누어진 차이. 빨강, 주황, 노랑, 초록,...
    Read More
  8. Volume 02 | 공감연기로 한 걸음 더 진화한 ‘뮤지컬의 아이콘’ 김준수

    공감연기로 한 걸음 더 진화한 ‘뮤지컬의 아이콘’ 김준수 ‘뮤지컬의 아이콘’ 김준수의 공감연기가 화제다. 김준수는 지난 6월 20일부터 8월 15일까지 성남아트센터 오페라하우스에서 공연한 뮤지컬 <데스노트>에 어떠한 사건이든 반...
    Read More
  9. Volume 02 | 오름들을 이웃한 숲 하나. 사려니 숲

    오름들을 이웃한 숲 하나 사려니 숲 흐드러지게 피었다. 꽃이 아닌 나무 얘기다. 저마다의 나이와 잎사귀를 가진 나무들은 모두 초록빛 얼굴로 웃는다. 초록에 초록이 모이고 또 다른 초록이 이어져 햇살 아래 빛난다. 그 모습이 마치 흐드러지게 핀 한 송이...
    Read More
  10. Volume 03 | 제주의 자연과 문화, 색을 담다 Brand 갈중이

    제주의 자연과 문화, 색을 담다 갈중이 제주 하면 떠오르는 것이 돌, 바다, 그리고 햇살과 바람이다. 예로부터 제주 사람들은 돌담길을 걷고, 바다에 나는 신선한 해산물을 먹었다. 그리고 제주의 풋감, 햇살과 바람이 만든 옷인 ‘갈옷’을 입어왔...
    Read More
  11. Volume 02 | '쿰자살롱' '반딧불공작소' 윤성재 작가

    제주, 그리고 사람을 품다 ‘쿰자살롱’ ‘반딧불공작소’ 윤성재 작가 등 만드는 사람, 등축제를 꿈꾸는 사람. 윤성재 작가는 스스로를 그렇게 소개했다. 제주에 살다 제주의 문화와 신화에 매료되고, 한지전통등연구소 ‘반딧불공...
    Read More
  12. Volume 01 | 모호한 경계의 시간들

    모호한 경계의 시간들 제주 애월 한담공원 도시의 빌딩 숲과 화려한 네온사인을 벗어나 고즈넉한 정취를 선사하는 제주는 때때로 단독으로 분리된 작은 나라 같은 이국적인 느낌을 준다. 쨍하니 해가 떴다가도 툭하고 빗줄기가 쏟아졌고 따뜻했다가도 금세 서...
    Read More
  13. Volume 01 | 오감만족 - 김준수와 함께한 감성여행

    오감만족 김준수와 함께한 토스카나 감성여행 흔히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 인체의 다섯 가지 감각을 일컬어 오감(五感)이라 한다. 하지만 지난 1월 30일부터 2월 1일까지 일본 팬들을 대상으로 제주 토스카나호텔에서 열린 김준수와의 만남은 &lsqu...
    Read More
  14. Volume 01 | 2015 신제품 화보 촬영장 비하인드컷

    http://book.interpark.com/product/BookDisplay.do?_method=detail&sc.prdNo=239172730&sc.saNo=003002003&bid1=search_auto&bid2=detail&bid3=btn_detail&bid4=001      XIA 2015 신제품 화보 촬영장 비하인드컷 공개!   감각적인 ...
    Read More
  15. Volume 01 | 바람이 부는 대로

    바람이 부는 대로 참으로 변덕스러운 날씨였다. 누군가 공중에서 대형 분무기를 분사하는 것처럼, 옅은 빚줄기가 계속 얼굴을 스쳤다. 그 때마다 다리가 휘청할 만큼 세찬 바람이 불었다. 누군가의 긴 머리카락이 허공에 어지럽게 휘날렸고, 사람들은 옷깃을 ...
    Read More
  16. Volume 05 | ABOUT CONTRAST - 짙음과 옅음, 콘트라스트에 관하여

    짙음과 옅음, 콘트라스트에 관하여 About Contrast 콘트라스트. 분야별로 다양한 해석이 있겠으나, 영화계에선 ‘한 장면 내의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과의 상대적 차이’를 일컫는다. 이러한 빛의 농담을 이용해 만들어진 것이 흑백영화다. 색감을 ...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
Top